top of page

판소리 문학, 그게 뭔가요?



 



판소리 문학이 뭘까요? 조금 생소한가요? 그럼 판소리는 뭘까요? 판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과 한 명의 고수(북 치는 사람)가 서사적 이야기를 노래(창), 말(아니리), 몸짓(너름새)으로 구연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민속악이에요. 판소리에는 열두 소리가 있는데 이를 열두 마당이라고도 해요. 하지만 현재 불러지고 있는 것은 <춘향가> <흥보가> <심청가> <적벽가> <수궁가>로 다섯 가지 뿐이고 이들을 판소리 다섯 마당이라고 따로 분리시켜서 부르기도 한답니다.

<춘향가> 중 빠른 사랑가 대목 1

이리 오너라, 업고 놀자.

이리 오너라, 업고 놀자.

사랑사랑사랑 내 사랑이야,

사랑이로구나 내 사랑이지.

그리고 판소리 문학은 이 판소리를 바탕으로 한 문학으로, 판소리계 소설, 판소리계 사설 등이 있어요. 판소리계 사설은 판소리를 글로 엮어 가사로서 표현한 것이에요. 판소리의 대본 혹은 희곡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위 사랑가 대목도 판소리계 사설이고, 저것에 음을 붙인다면 판소리가 되겠죠?

판소리계 소설은 판소리계 사설을 바탕으로 한 소설이에요. 아까 판소리 다섯 마당을 판소리계 소설로 바꾸면 아주 익숙한 이름이 나온답니다. 그리고 나머지 일곱 개의 마당도 노래로 불러지지 않을 뿐, 소설본로는 내려오고 있어요.



판소리 문학 중 판소리계 소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판소리는 상위 계층보단 서민들 속에서 서민들의 호응과 관심 속에 연행되어 왔어요. 따라서 판소리사설에도 서민적 지향 의식이 두드러지고, 이러한 성격이 판소리계 소설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어요.

우리는 대표적인 판소리계 소설인 춘향가로 알아보도록 해요. 춘향전은 다들 아시다시피 춘향과 이몽룡의 신분을 초월한 사랑을 형상화한 작품이에요. 이들의 사랑은 하층민인 춘향의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으로 성취되는데, 이 점은 춘향과 같은 하층민들의 소망을 대변하는 것이기도 해요.


또, 춘향전에는 춘향과 농민들의 부당한 권력에 대한 비판과 저항도 생생하게 그려져 있어요. 이 역시 당시의 서민 의식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답니다.

그리고 판소리의 지배층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수행한다는 특징 또한 그대로 드러나 있어요. 이러한 점에서 『배비장전』, 『매화가』, 『골생원전』, 『게우사』는 부당하고 위선적인 중인이나 양반들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데 초점이 놓여 있는 판소리계 소설이에요.


한편, 『심청전』과 『흥부전』은 효와 우애라는 유교적 이념을 형상화해요. 효와 우애는 유교사회에서 상하층을 막론하고 누구나 중시했던 인간적인 윤리였어요. 그러나 삶의 형편이 최소한의 윤리마저 돌아볼 겨를이 없는 심청이나 흥부 같은 인물이 이러한 윤리를 실천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다고 해요.



이처럼 서민 정신과 그들의 역동성을 전면적으로 표출한 작품, 서민 의식을 바탕으로 부당하고 위선적인 계층을 풍자·비판하는 작품, 삶의 형편상 윤리를 생각하기 힘든 인물들이 도리어 극한의 모습으로 윤리를 실현하는 작품 등은 판소리계 소설 외에는 달리 찾아볼 수 없다고 해요.


또한 판소리계 소설은 미학적으로도 주목되는 소설이에요. 판소리계 소설이 지닌 이러한 미적 특징은 다른 유형의 고전 소설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판소리계 소설은 막대한 의의를 지니고 있어요.


※참고: 한국민속대백과사전- 觀優戲, 고전소설 이본목록(조희웅, 집문당, 1999)

조선창극사(정노식, 조선일보사, 1940)

판소리의 세계(판소리학회 엮음, 문학과지성사, 2000)

판소리의 정서와 미학(김종철, 역사비평사, 1996)




 

w. 2819 애송


1 comentário


라마
라마
30 de out. de 2020

판소리에 관해 더 깊은 지식을 얻게 된 것 같아 좋아요. 판소리마다 각각의 특징이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줘서 흥미로웠어요.

Curtir

© 2023 by Train of Thoughts.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